기록을 합시다.
Virtual Machine에서 MySQL Server 깔고 컴퓨터에서 Client로 접속하기 본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 Machine의 Windows10에서 MySQL 서버를 깔고, 호스트 컴퓨터(Virtual Machine 말고 쓰고 있는 노트북이나 컴퓨터)에서 MySQL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다뤄보겠다.
사전 작업 사항은 Windows10 가상 머신을 깔아서 실행할 것!
1) 위와 같이 가상 머신의 위의 탭 중에 머신-설정을 누른다.
2) 설정에서 공유 폴더를 누르고, 맨 오른쪽에 있는 + 표시가 된 파란색 폴더 아이콘을 눌러준다.
3)공유 추가에서 기타를 눌러 자신이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를 선택한다. 이 때, 딱히 가상머신에서 마운트 하고자 하는 폴더가 없다면 자동 마운트를 체크 하고, 편의를 위해 항상 사용하기를 누른다. 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MySQL installer가 깔려 있는 폴더에 마운트했다.
4) 추가로 나중에 할 작업을 위해 네트워크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바꿔준다.
5) 위의 작업을 마치면 가상머신의 파일 탐색기에서 내가 공유한 폴더가 네트워크 위치 탭에 추가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6) 난 마운트한 공유 폴더에 있는 mysql-installer를 실행시켜줬다. (이게 싫으면 4번 과정을 생략하고 그냥 가상머신에서 다운 받고 설치해도 상관없다!! 그래도 나중에를 위해 4번 과정을 꼭 해줘야한다.)
(https://dev.mysql.com/downloads/installer/)
MySQL :: Download MySQL Installer
Select Operating System: Select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Select OS Version: All Windows (x86, 32-bit) Windows (x86, 32-bit), MSI Installer 8.0.32 2.4M (mysql-installer-web-community-8.0.32.0.msi) MD5: 0f882590f8338adc614e9dc5cb00ca0b | Signatu
dev.mysql.com
7) 우리는 이 가상머신을 MySQL 서버용으로 사용할 것이지만 WorkBench 같은 것도 함께 설치하기 위해 Custom을 눌러준다.
8) 위 과정에서 말했던 것처럼 Server, Workbench를 찾아서 오른쪽에 추가해주고, 연습을 해야하니 Samples and Examples도 함께 추가해준다.
9) Visual C++ 없으면 execute 눌러서 설치한 다음에 Next를 누르고, 이미 있으면 그냥 Next를 누르면 된다.(근데 다들 가상머신 처음 깐 거면 없을 거임..)
10) 나머지 과정도 다 Excute 혹은 Next를 눌러준다. 그러다가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다시 따라해라!!
11) 이 창이 뜨면 TCP/IP체크 확인하고, Open Windows Firewall ports for network access는 체크 해제 해준다. 그냥 체크하면 더 편한데, Port 번호 여는 연습도 한 번 함께 해볼 거다. 연습 하기 싫은 사람은 그냥 체크 하셔도 상관 없다.
12) 위의 체크를 누르면 잘 작동 안 되는 환경들도 있다고 하니 아래 쪽의 체크를 눌러준다.
13) 연습용이기에 root 비밀번호는 1234로 설정해주고 Next를 눌러주고, 다음 단계들도 다 Next를 눌러주고 마지막에 Execute를 눌러준다. 그러다가 아래 창이 나오면!! 다시 멈추고 따라하면 된다.
14) 방금 root계정의 비밀번호를 생성했었으니 Username에 root 적고, Password에는 1234를 다시 쳐준다. 그리고 Check하고 Next를 누른다.
15) 이제 다 깔았으니 환경 변수 설정을 해줘야한다. 환경 변수 설정하는 이유는 터미널에 어떤 폴더에 있든 mysql 커맨드 창을 열기 위해서이다. 아무튼 나를 함께 따라왔다면 위와 같이 따라하면 된다. [시스템 속성] => [환경 변수] => Path를 누르고 [편집] => [새로 만들기]를 해준다. 이 때의 경로는 C:\Program_Files\MySQL\MySQL Server 8.0\bin이었다. 혹시 모르니 폴더에서 직접 경로 확인하는 것도 괜찮다. 그리고 왜 저 경로냐면 mysql.exe가 저기 있기 때문이다.
17) 이제 CMD 창을 열고 mysql -u root -p를 쳐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적어주면 mysql cmd 접속 완료!! 그렇지만 우리는 유저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18) CREATE USER '유저이름'@'유저IP주소' IDENTIFIED BY '비밀번호' 쿼리를 적어준다. 이 때, 모든 IP 상관없이 들어오게 하고 싶다면 CREATE USER '유저이름'@'%' IDENTIFIED BY '비밀번호'라고 적어주면 된다 @뒤에 '%'를 꼭 적어줘야 된다. (따옴표 포함해서 쳐야함)
19) 권한 설정을 위해 아래와 같은 쿼리도 입력해준다. GRANT ALL ON *.* TO ‘유저이름’@’ip주소’ (*.*라는게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뜻한다)
20) 마지막으로 포트 번호를 열기 위해 Windows 방화벽을 열고, [인바운드 규칙] => [새 규칙]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창이 뜬다. 규칙 종류는 포트를 눌러준다.
21) TCP 프로토콜을 누르고, MySQL에서 정해둔 3306 포트를 적어준다. 다 과정을 넘기고 마지막에 이름 단계에서 이름을 MySQL만 적어줘서 마무리 해준다. 그러면 포트 번호 열기 끝!
여기까지가 VM에서 한 작업이고, 아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할 작업이다. (헷갈리지 말아야 하는 게 호스트 컴퓨터에서 Client로 VM MySQL Server에 접속하는 거다. 호스트라고 해서 헷갈리지 말자!!)
22) WorkBench를 깔아주고(까는 과정은 생략한다), WorkBench에 접속하면 + 아이콘이 매우 작게 있다. 그걸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Hostname에는 VM의 IP를 적어주고(CMD에서 ipconfig를 눌러 ipv4 확인), Username과 Password는 우리가 쿼리 문으로 작성한 것과 똑같이 적어준다.
23) 연결 완료가 되면 끝!! 만약 연결이 안 되었다면 위 과정 중에서 빠진게 있는지 확인 해주고, IP를 잘못 적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하면서 회사에서는 어떻게 DB 서버를(보통 리눅스 쓰겠지만..) 구축하고, 각자 개인 컴퓨터에서는 어떻게 서버에 접속하는지 배우는 과정을 익힌 것 같다.
진짜 VM은 너무 느리다. VMware는 빠르다는데.. 써봤어야 알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Hyper-V는 정말 신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공부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계정 생성 (0) | 2023.04.25 |
---|---|
[Oracle] Oracle 21C XE Windows11에서 설치하기 + SQL Developer (1) | 2023.04.25 |
Email은 Primary Key가 될 수 있을까?(feat. 스택오버플로우) (0) | 2023.04.13 |
NoSQL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0) | 2023.04.12 |
간단하게 DB 설계 연습을 해보았다.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