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etc (14)
기록을 합시다.
모달 모달은 다른 윈도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화면 맨 위에 활성화 되는 폼 모드리스 모드리스 폼은 폼이 생성되어 나타나도 여전히 다른 폼 사용 가능한 폼 참고로 옵션 창이나 패스워드 체크화면은 모달 창이어야 함 모달창 띄우기 예제 Project Option에서 모달창을 available로 이동 버튼을 누르면 모달창이 뜨도록 이벤트에 onClick 이벤트 등록 Form2.ShowModal을 통해 모달창 띄우기, 모달창 내부의 버튼을 Properties.ModalResult.mrOk로 설정하여 버튼을 누르면 if문 내부의 것들 실행되고 모달 꺼짐 모달창 내부 버튼 Properties.ModalResult.mrCancel로 설정한 버튼을 누르면 모달 꺼짐 procedure TForm1.Button1Click(..

넘블 회고록 프로젝트 참여 배경 원래는 유료였지만, 우연치 않게 게임을 열심히 해서 무료로 MBTI 성격 유형 테스트 관련 넘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운이 정말 좋았음..) 혼자 하는 프로젝트보다는 같이 하는 프로젝트가 조금 더 동기 부여가 되었기 때문에 정말 좋은 기회를 잡았던 것 같습니다. 특히 저보다 잘 하시는 분이 많아 조금 위축되기도 했었지만 위축된 만큼 열심히 노력을 했더니 배운 게 정말 많았습니다. 배운 점 (정말 많이 배움) FetchType이 뭘까? 저는 ERD에 그려져있는 것 중에서 Archive 테이블에 관련된 코드들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다른 분들이 JPA로 Foreign key를 설정하는 것을 보고, FetchType.LAZY를 보고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

whoami 명령어 :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한 계정을 보여줌 telemain1@danhee:~$ whoami telemain1 w 명령어 : 접속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화면에 출력 telemain1@danhee:~$ w 22:57:20 up 1:02, 0 users, load average: 0.00, 0.00, 0.00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useradd 명령어 : 시스템에 새로운 사용자 계정 추가, 루트 권한 필요 m 옵션 : 사용자 계정 추가 및 홈 디렉터리 생성(home/niniz 같은 거) telemain1@danhee:~$ sudo useradd -m niniz [sudo] password for telemain1: telem..

Udemy에서 약 4개월 정도의 강의 무료권을 얻었는데, 엄청 어려운 거 들으면 뭐 백퍼 열심히 안 들을 것 같고.. 원래 관심있었던 Go에 대한 초심자 강좌(?)를 듣기로 했다. Go 깔기 All releases - The Go Programming Language go.dev 위의 링크에 들어가서 자기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난 윈도우여서 맨 왼쪽에 msi 확장자 프로그램을 다운 받았다. 그리고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생각보다 설정해줄 거는 별로 없다보니 그냥 Next만 열심히 갈겨주면 된다. 설치도 매우 빠르다. ㄷㄷ 그러면 Go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이 터미널을 띄워서 go version라고 커맨드를 쳐주면 된다. 그러면 일단은 설치 ..

Let's encrypt를 사용해서 Nginx에 https 적용을 하다가, Putty를 이용해서 서버에 다시 접속을 하려고 하니 SSH 접속이 안 되었다. 분명 직전에 방화벽을 서버에서 설정해준 게 문제였던 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해결했다. 네이버 퍼블릭 클라우드 설정 일단은 포트 포워딩 정보에서 서버 접속용 외부 포트 9333번임을 기억해야 한다. 우분투 설정 ufw status 커맨드를 통해, 리눅스 방화벽 상태를 본다. 아마 Nginx로 리버스 프록시 설정하신 분들은 ufw status가 active 상태로 이미 되어있었을 거다. 그리고 분명 9333 포트는 없을 거다. 그러면 직접 9333 포트를 아래와 같은 커맨드로 추가해준다. sudo ufw allow 9333 Rule added라고 터미널에..

Github Action 돌리다가 jar 파일 Build를 해주는 job에서 오류가 났다. ./gradlew: Permission denied가 떴길래, gradlew의 권한을 수정해주는 커맨드를 아래와 같이 추가해주었다. 그랬더니 잘 돌아감..(근데 또 다시 다른 에러가 ^^..)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첫 번째로, MySQL 서버를 만들어준다. 위에 고가용성 체크는 무조건 빼준다. 서버 두 개 설치해서 돈을 더 청구하려는 네이버의 간악한 속셈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USER_ID랑 USER 암호는 MySQL 유저를 그냥 만드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HOST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IP를 적는 건데, 나는 일단 그냥 %라고 적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그냥 생성을 눌러주면 끝난다. 서버가 다 만들어지면, 아래와 같이 뜨는데 ACG를..

프로젝트 경로 +---dockerfile_apache2 | Dockerfile | httpd-vhosts.conf | httpd.conf | +---dockerfile_mariadb | db_board.sql | db_user.sql | Dockerfile | +---dockerfile_tomcat9 | Board.war | Dockerfile | server.xml | +---etc | Board.war | index.html | serverVersionView.jsp | \---miniboard_compose docker-compose.yml Apache2 Dockerfile 작성 FROM httpd #귀찮으니 안에서 설정안 하기 위해서 conf 파일들을 아예 옮겨준다. ADD httpd.conf /..
HTTP HTTP 개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된다. HTTP 목적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웹 리소스(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을 주고 받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게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HTTP 응답을 전송해준다. HTTP 특징 비연결성(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보내면 연결이 끊긴다. 이런 특징으로 서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상태성(Stateless): HTTP 요청과 응답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이..

Hyper-V 관리자에서 디스크 용량 늘리기 처음에는 Hyper-V 관리자에 들어가서, 용량을 늘리고싶은 가상 컴퓨터의 [작업] -> [디스크 편집]을 눌러준다. 늘리고 싶은 가상 하드 디스크를 선택해준다. 확장을 선택해 준 다음에, 가상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적는다. 완료를 했으면, 가상 컴퓨터에 들어가서, Terminal 창을 열고, 아래와 같은 커맨드를 쳐준다. fdisk -l은 디스크 파티션의 내용을 출력해준다. sudo fdkisk -l 나는 이미 디스크 용량을 늘렸지만.. 위의 작업을 했다면 아마 Freespace라는 공간도 함께 뜰 것이다. 여기에서 Freespace의 공간을 사용하여 늘려주고 싶은 디스크가 /dev/sda1이다. Linux filesystem이라는 것은 파일을 저장하고 보관..